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23 게이밍 인 구글 클라우드
- 산토리 하이볼
- 2023 Gaming
- 2023 게이밍
- 상계9동
- 2023 구글 클라우드
- 언리얼5
- URP
- 리팩터링
- 리팩터링 4장
- 공부
- 전주비빔 라이스 버거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1
- JavaScript
- 스포일러 주의
- 112일선
- 주식
- GenAI
- 언리얼 5
- 224일선
- 리팩터링 3장
- unity
- shader
- 구글 컨퍼런스
- 주식단테
- 작계훈련
- 448일선
- 1일차
- 스즈메의 문단속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1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1)
개발 이야기 안하는 개발자

서술형 명칭쓰기- 가능하면 주석보다는 서술형 명칭을 사용할 것.- 명사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만 보고도 어떤 것인지 이해할 수 있게 명명할 것. 주석문의 적절한 활용- 주석문으로 가독성 높은 코드를 대체할 수 없다.- 주석문은 코드의 이유를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작업 이유, 테스크 넘버, 버전에 따른 이유 설명 등등)string Generate(string data){ //data[0]은 유저의 이름이고 data[1]은 성이다. //"{이름}.{성}"의 형태로 ID를 생성한다. return data[0] + "." + data[1];} 다음 코드는 주석이 있지만 이해하기 어렵다.string Generate(string data){ return FirstName(data) + "." + Last..

명시적 오류...암시적 오류...?이 두개가 계속 번갈아 나오는데 잘 모르겠넹클라 개발자는 엔진에 의존을 많이하니까 당연히 명시적 방법이 맞는거 같은데 엔진에서 크래시 내버리면 그건 암시적 방법을 쓰는거 같기도 하고..? 일단 오류 레츠고 신속하게 실패하라신속한 실패는 정확하게 어디서 에러가 났는지 알 수 있게,문제가 된 부분에서 에러를 띄워야 한다는 뜻이다. 에러가 발생한 부분, 뭔가 잘 못된 부분에서 바로 에러라고 띄워야 하는게 옳다는 의견이다.상황에 따라서는 기본값(default value)를 넘기는 방식도 존재하겠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며 에러인 상황에서 바로 인지 가능하도록 하는게 좋다는 의견이다. 요란한 실패수정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에러를 내는데, 요란하게 실패해야 한다.언리얼로 따지면 C..

이번 3챕터는 다른 사람들이 나의 코드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래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생각해보는 챕터이다. 우리가 코딩을 할땐 해야하는 작업에 대해 생각하고,어떻게 할지 구조를 짜고 설계를 한다. 즉, 내 일도 바쁜데 다른 사람 코드를 보기엔 피곤하다. 그래서 다음을 고려하며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 자신에게 명백하다고 해서 다른 사람에게도 명백한 것은 아니다. 작업을 진행하다보면 내가 작성한 코드 위에 동료의 코드가 위에 층층이 쌓이는 일이 빈번하다.그렇게 하다보면 내가 작성한 코드의 명명이 다른사람들에겐 명백하지 않아 혼란을 줄 수 있다.최대한 명백하게 해야하고, 만약 혼란을 줄 것을 고려한다면 주석을 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다른 개발자는 무의식중에 여러분의 코드를 망가뜨릴 수 있다.작업을 ..

큰일났따 큰일났어2장인데 벌써 머리아프다 머리로는 이해하는 내용들이었다.이걸 지금 프로젝트에 적용한다고 생각하면 너무너무 큰 일이다.일단 오늘 배운거 부터 기록해보자. 코드문제 해결을 위해 어떻게 해결하는가도 중요하지만 해결하는 코드를 어떻게 구성하는가도 중요하다. 우리가 하는 코드 작성복잡한 문제를 계속해서 더 작은 하위 문제로 세분화 하는 작업이 바로 코드 작성이다.계층을 만들면서 같은 층위 내에서는 쉽게 이해할 몇 개의 개념만 다루기 때문에, 개별 코드는 복잡해 보이지 않게 한다. - 상위 수준의 문제- 알고 있어야 하는 하위 문제- 알 필요 없는 하위 문제 간단하게 내가 이해한 바로 설명한다면, 만약 인벤토리를 제작해야 한다고 할때.인벤토리를 열어서 보여준다 가 상위 문제로 둔다.여기서 연다라..

예전에 샀던 책인데.사실 리펙터링 책 사면서 같이 산건데,리펙터링 읽고나서 코딩 개고수가 된 느낌 받아서 안읽었던 책이다. 에휴 퇴근하고 와서 쓸 거라 목차가 한 12개 쯤 되는데 하루에 하나씩 한다 치면2주 걸리겠지? 책에서 말한 고품질 코드란- 신뢰할 수 있다- 유지 보수가 쉽다- 버그가 적은 소프트웨어를 생상한다 본 책의 주 내용 6가지1. 코드는 읽기 쉬워야 한다.2. 코드는 예측 가능해야 한다.3. 코드를 오용하기 어렵게 만들라.4. 코드를 모듈화 하라.5. 코드를 재사용 가능하고 일반화할 수 있게 작성하라.6. 테스트가 용이한 코드를 작성하고, 제대로 테스트 해라. 1. 코드는 읽기 쉬워야 한다.책을 읽으면 엄청 가독성 떨어지는 장문의 글을 예시로 든다.문제는 내가 이걸 읽으면서 이게 뭐..

네네~ 미키 17을 보고왔습니다 저는 아이맥스로 보고왔습니다!근데 굳이 아이맥스로 볼 필요는 없을것같습니다.스토리에 비중이 크기때문에, 그렇게 막? 뭐 화려한 연출은 거의 없습니다 스토리새로운 행성을 향해가는 우주선에 탄 미키라는 인물의 이야기입니다!미키는 "죽어도 다시 새로운 몸으로 기억을 다운로드받아 살아가는 익스펜더블"이라는 직업을 가진 인물입니다. 평제 개인적인 점수는 3.1점 입니다. (5점 만점)주인공의 행동들과, 그 주위의 인물들의 행동 모두 이해가 갑니다.하지만, 악역이 다소 가벼운 언행들과 재미있을것 같은 상황들이 모두 안나와서 아쉬운 부분이 계속 생겼어요.소설 원작으로 미키7을 영화로 만들었는데, 굳이 7을 17로 할 필요가 있었나 싶네요.참고로 제 개인적인 의견인데, 영화가 2시간..

고구려 - 광개토대왕, 장수왕, 고국천왕 진대법, 소수림왕 - 고국천왕 2세기故(고): 옛날, 과거, 돌아가다. 國(국): 나라. 川(천): 내, 강, 흐름."옛 나라의 강을 잇는 왕" 또는 "옛 나라를 되살린 왕". 고구려의 기틀을 다진 왕으로, 강역(영토)을 회복하거나 유지한 업적을 상징.진대법 (흉년일때 나눠주고, 수확철때 돌려받는다 _대출), 구휼제도(백성들을 구원한다), 을파소가 했다?소수림왕 4세기小(소): 작다, 소소하다. 獸(수): 짐승, 동물. 林(림): 숲, 나무가 많은 곳."작은 짐승의 숲을 다스리는 왕" 또는 "숲속의 작은 생명을 이끄는 왕". 불교를 받아들이고 율령을 정비하며 국가 체제를 강화한 왕으로, "소수림"은 그의 소박하고 지혜로운 통치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듯.불교수용, 율..
JKLja크-하 je크-헤 ji크-히 jo크-호 ju크-후ㄲ 발음으로 외래어에만 사용la라 le레 li리 lo로 lu루lla야 lle예 lli이 llo요 llu유julio 7월 (홀리오)kiwi 키위 (끼위)lluvia 비 (유비아) MNÑ ñ ma마 me메 mi미 mo모 mu무na나 ne네 ni니 no노 nu누ña냐 ñe녜 ñi니 ño노 ñu뉴madre 엄마 (마드레)noche 밤 (노체)España 스페인 (에스빠냐) Hasta luego 나중에 봐Hasta ~까지luego 나중에 Hasta pronto 곧 보자Hasta mañana 내일 봐mañana 내일 Chao 잘 가Adios 잘 가 vista 시각Hasta la vista 곧 봐

고구려상가, 고추가, 대가, 제가회의, 5나부, 동맹(10월), 서옥제, 대릴사위부여사출도, 영고(12월), 순장, 1책 12범, 형사취수제옥저민며느리제, 가족공동무덤, 읍군, 삼로동예책화, 단궁, 과하마, 반어피, 무천, 읍군, 삼로삼한천군, 소도, 신지, 읍차, 목지국, 계절제(5월, 10월) *고구려는 5개의 부족(5나부)로 이루어진 국가였다.- 5개의 부족의 제일 지배층인 "제가"들이 모여서 회의를 한 것이 제가회의였다.- 10월에는 주몽의 이름을 딴 동명제가 있었고, 수확을 한 뒤 제가들이 모여 회의를 하고 축제를 벌였다.- 서옥제란 감옥을 만들어 죄수들을 가두는 방식이다.- 대릴사위는 딸을 시집을 보내는 것이다.- 상가, 고추가, 대가는 각 부족들의 상위계층이며, 고추가가 제일 높은 등급이다...
B CDba바 be베 bi비 bo보 bu부ca까 co꼬 cu꾸 ce쎄 ci씨 ch(ㅊ)da다 de데 di디 do도 du두boca 입 (보까)cuba 쿠바 (꾸바)dedo 손가락 (대도) FGHfa파 fe페 fi피 fo포 fu푸 (모두 f 발음)ga가 go고 gu구 ge크-헤 gi크-히묵음familia 가족 (파밀리아)gato 고양이 (가또)hotel 호텔 (오뗄) Buenos dias 좋은 아침이야Buenas tardes 좋은 오후야Buenas noches 잘자

한국사 공부해볼께요 ㅎ 구석기돌이나 바위따위를 때려서 부셔서 만든 도구들을 사용- 주먹도끼, 찍개, 슴베찌르개, 동굴, 막집(바닥이 평평), 사냥, 채집신석기정착생활로 인한 농경 활성화. 남은 음식 저장하기 시작. 돌이나 바위를 갈아서 만든 도구들을 사용- 농경, 정착, 가락바퀴(옷), 뼈바늘, 움집(바닥이 파임), 빗살무늬토기, 갈돌청동기사유재산이 생기고, 계급이 생김 (청동이 비싸고 귀해서 계급이 높은 사람만 보유했음)- 사유재산, 계급, 고인돌, 비파형동검, 반달돌칼, 청동거울철기단단하고 구하기 쉬운 철기를 활용한 도구가 등장함.- 철제농기구, 반량전(반량 한자가 적힌 돈), 명도전(돈), 세형동검 고조선청동기 시대에 세워진 나라.연나라와 붙어있어서 처음엔 약했지만, 기원전 3세기에 부왕, 준..

스페인 공부 해보려고 합니다! * 스페인어는 느낌표, 무름표를 앞에도 뒤집어서 사용한다- ¿, ¡ * 스페인어는 여자가 쓰는 언어, 남자가 쓰는 언어가 조금 다르다. Mucho - 무척, 많이 (우리가 아는 베쌈에 무초 가 bésame mucho)Hola - 안녕하세요 / 안녕 (존댓말, 반말)Encantado (남) / Encantada (여) - 만나서 반갑습니다.Mucho gusto - 만나서 반갑습니다. Casa - 집Ave - 새Amigo - 친구Boca - 입Uva - 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