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이야기 안하는 개발자

Good Code, Bad Code (5) _ 가독성 높은 코드를 작성하라 본문

Book/Good Code, Bad Code

Good Code, Bad Code (5) _ 가독성 높은 코드를 작성하라

07e 2025. 9. 16. 21:06
반응형

 

서술형 명칭쓰기

- 가능하면 주석보다는 서술형 명칭을 사용할 것.

- 명사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만 보고도 어떤 것인지 이해할 수 있게 명명할 것.

 

주석문의 적절한 활용

- 주석문으로 가독성 높은 코드를 대체할 수 없다.

- 주석문은 코드의 이유를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작업 이유, 테스크 넘버, 버전에 따른 이유 설명 등등)

string Generate(string data)
{
	//data[0]은 유저의 이름이고 data[1]은 성이다.
	//"{이름}.{성}"의 형태로 ID를 생성한다.
	return data[0] + "." + data[1];
}

 

다음 코드는 주석이 있지만 이해하기 어렵다.

string Generate(string data)
{
    return FirstName(data) + "." + LastName(data);
}

string FirstName(string data)
{
    return data[0];
}

string LastName(string data)
{
    return data[1];
}

코드자체를 보고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어야 한다.

 

코드 줄 수를 고정하지 말라.

- 간결하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코드는 피해라. (어려운 코드를 조각내서 메소드나 클래스로 만들어서 가독성을 높여야 한다)

 

일관된 코딩 스타일을 고수하라.

- 파스칼이나, 캐멀 등 하나의 스타일만 고집할 것.

- if문이나, 메소드 명명(Get, Set, Is, ...) 규칙을 일관되게 작성해야 한다.

 

깊이 중첩된 코드를 피하라

- if문안에 if문을 깊이로 작성하면 결국 return해주는 부분이 와닿기 어렵다.

- 중첩된 블록에 반환문이 없다면, 해당 함수는 너무 많은 일을 하고있다는 뜻으로 분리를 해야 한다.

- 중첩이 과하다면 기능을 분리하거나 더 작은 함수로 분리해야 한다.

 

설명되지 않은 값을 사용하지 말라.

- 함수안에 뜬금없는 907.184 같은 값을 넣어두고 주석으로 가중치 같은 걸 적어높으면 바로 눈에 들어오지않는다.

- const나 define을 사용해서 해당 값을 외부에 정의해라.

 

람다(익명 함수)를 적절히 사용하라.

- 간단한 로직엔 사용하기 좋다(간단한 CallBack)

- 너무 긴 로직은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명명 함수를 사용하라.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라.

- 간단한 내용은 직접 작성하지말고, 언어 레벨에서 제공하는 메소드나 기능을 찾아보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