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스포일러 주의
- 산토리 하이볼
- 공부
- 리팩터링
- 언리얼 5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1
- 2023 게이밍 인 구글 클라우드
- 2023 Gaming
- JavaScript
- 리팩터링 3장
- 전주비빔 라이스 버거
- unity
- 리팩터링 4장
- URP
- 224일선
- 112일선
- GenAI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1
- 2023 구글 클라우드
- 언리얼5
- 상계9동
- shader
- 작계훈련
- 2023 게이밍
- 주식
- 1일차
- 스즈메의 문단속
- 주식단테
- 448일선
- 구글 컨퍼런스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 이야기 안하는 개발자
한국사 공부_3 ( ~ 삼국시대) 본문
반응형
고구려 - 광개토대왕, 장수왕, 고국천왕 진대법, 소수림왕
-
고국천왕 2세기 | 故(고): 옛날, 과거, 돌아가다. 國(국): 나라. 川(천): 내, 강, 흐름. "옛 나라의 강을 잇는 왕" 또는 "옛 나라를 되살린 왕". 고구려의 기틀을 다진 왕으로, 강역(영토)을 회복하거나 유지한 업적을 상징. |
진대법 (흉년일때 나눠주고, 수확철때 돌려받는다 _대출), 구휼제도(백성들을 구원한다), 을파소가 했다? |
소수림왕 4세기 | 小(소): 작다, 소소하다. 獸(수): 짐승, 동물. 林(림): 숲, 나무가 많은 곳. "작은 짐승의 숲을 다스리는 왕" 또는 "숲속의 작은 생명을 이끄는 왕". 불교를 받아들이고 율령을 정비하며 국가 체제를 강화한 왕으로, "소수림"은 그의 소박하고 지혜로운 통치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듯. |
불교수용, 율령반포(사회질서 유지), 태학설립(인재양성), 5세기 전성기 다음 왕들의 기반 틀을 만듬. |
광개토대왕 5세기 | 광(廣): 넓다, 크다, 광대하다. 개(開): 열다, 펼치다, 시작하다. 토(土): 땅, 영토. 대왕(大王): 큰 왕, 위대한 왕. |
정복왕이였다. |
장수왕 5세기 | 長(장): 길다, 오래가다. 壽(수): 목숨, 오래 살다. 王(왕): 왕. 뜻: "오래 사는 왕" 또는 "장수하는 왕". 실제로 79년간 재위하며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정복왕, 천도(평양성으로), 충주 고구려비 |
백제 - 근초고왕, 무령왕, 성왕, 의자왕
근초고왕 4세기 | 近(근): 가깝다, 가까이 하다. 肖(초): 닮다, 비슷하다. 古(고): 옛날, 오래되다. 王(왕): 왕. 뜻: "옛 것을 닮아 가까이 한 왕" 또는 "고대와 가까운 왕". 백제 중흥을 이끈 왕으로, 옛 영광을 되살리려 한 업적을 상징. |
마한 전체 병합, 고구려 공격, 칠지도, 요서지방, 산둥반도, 규슈 |
침류왕 4세기 | 枕(침): 베개, 기대다. 流(류): 흐르다, 물줄기. 王(왕): 왕. 뜻: "흐르는 물에 기대는 왕" 또는 "물가에 편히 있는 왕". 짧은 재위 기간과 불교를 처음 받아들인 점에서, 평화롭고 자연과 조화를 이룬 이미지를 담은 듯. |
불교수용 |
무령왕 6세기 | 武(무): 무술, 힘, 강함. 寧(령): 편안하다, 평화롭다. 王(왕): 왕. 뜻: "강함으로 평화를 이룬 왕" 또는 "무력으로 안정을 가져온 왕". 백제의 부흥을 이끌며 강한 통치로 나라를 안정시킨 업적 반영. |
22담로(성)에 왕족을 파견해서 지방 통치 강화, 양나라와 왜의 무역 활발 (무령왕릉이 양나라양식, 관은 왜나라 양식) |
성왕 6세기 | 聖(성): 거룩하다, 성스럽다, 지혜롭다. 王(왕): 왕. 뜻: "거룩한 왕" 또는 "성스러운 왕". 수도를 사비로 옮기고 백제 전성기를 열어, 지혜롭고 존경받는 통치를 상징. |
사비(부여)로 천도, 신라 통일에 통수당함 |
의자왕 7세기 | 義(의): 의로움, 정의. 慈(자): 자비, 인자함. 王(왕): 왕. 뜻: "의롭고 자비로운 왕". 백제 말기의 왕으로, 나라가 멸망했지만 초기 통치에서 보여준 정의와 인자함을 기린 시호로 보임. |
백제 멸 |
신라 - 지증왕, 범흥왕, 진흥왕
-
-
-
지증왕 6세기 | 智 (지): 지혜, 슬기로움, 똑똑함 證 (증): 증명하다, 밝히다, 입증하다는 뜻 "지혜로 증명하는 왕" 또는 "지혜를 밝히는 왕" 이는 그의 통치가 지혜롭고 국가의 기반을 확립한 업적을 반영합니다. |
신라라고 이름을 정함, 울릉도 정복(이사부) |
법흥왕 6세기 | 法 (법): 법, 규칙, 질서, 또는 불교의 가르침(불법) 興 (흥): 일어나다, 번성하다, 흥하다 "법으로 나라를 흥하게 하는 왕" 또는 "법을 일으키는 왕" 이는 불교 공인과 법체계 정비로 신라를 번영으로 이끈 그의 업적과 연결됩니다. |
율령 반포 (17 관등을 나눔), 골품제(신분제) 정비, 금관가야 정복, 불교 (이차돈) |
진흥왕 6세기 | 眞 (진): 참되다, 진실하다, 본질적 興 (흥): 일어나다, 번성하다, 흥하다 "참되게 나라를 흥하게 하는 왕" 또는 "진정한 번영의 왕" 이는 신라의 전성기를 열고 영토 확장과 문화 발전을 이룬 그의 통치를 상징합니다. |
영토확장, 불교, 화랑도, 대가야 정복(이사부), 한강 먹음 (백제의 성왕 통수) |
반응형
'다른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공부_2 ( ~ 초기 여러 나라) (0) | 2025.02.19 |
---|---|
한국사 공부_1 ( ~ 고조선)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