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즈메의 문단속
- 언리얼5
- 2023 게이밍
- URP
- JavaScript
- 상계9동
- 2023 게이밍 인 구글 클라우드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1
- 112일선
- 산토리 하이볼
- unity
- GenAI
- 리팩터링
- 448일선
- 리팩터링 4장
- 2023 Gaming
- 작계훈련
- 구글 컨퍼런스
- 2023 구글 클라우드
- 언리얼 5
- 리팩터링 3장
- 224일선
- 스포일러 주의
- 주식
- 주식단테
- 공부
- 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1
- shader
- 전주비빔 라이스 버거
- 1일차
- Today
- Total
개발 이야기 안하는 개발자
한국사 공부_2 ( ~ 초기 여러 나라) 본문
고구려 | 상가, 고추가, 대가, 제가회의, 5나부, 동맹(10월), 서옥제, 대릴사위 |
부여 | 사출도, 영고(12월), 순장, 1책 12범, 형사취수제 |
옥저 | 민며느리제, 가족공동무덤, 읍군, 삼로 |
동예 | 책화, 단궁, 과하마, 반어피, 무천, 읍군, 삼로 |
삼한 | 천군, 소도, 신지, 읍차, 목지국, 계절제(5월, 10월) |
*고구려는 5개의 부족(5나부)로 이루어진 국가였다.
- 5개의 부족의 제일 지배층인 "제가"들이 모여서 회의를 한 것이 제가회의였다.
- 10월에는 주몽의 이름을 딴 동명제가 있었고, 수확을 한 뒤 제가들이 모여 회의를 하고 축제를 벌였다.
- 서옥제란 감옥을 만들어 죄수들을 가두는 방식이다.
- 대릴사위는 딸을 시집을 보내는 것이다.
- 상가, 고추가, 대가는 각 부족들의 상위계층이며, 고추가가 제일 높은 등급이다.
*부여는 크게 4개로 나누어 군사척, 행정적 통치 체계로 영토를 관리했다 (사출도)
- 고대 신을 맞이한다는 영고는 겨울철을 견디는 강한 의지의 의미를 담아 제사를 지냈다.
- 순장은 죽은 사람과 함께 같이 사람을 묻는 제도로, 왕이나 귀족이 죽을때 같이 묻는 관습이 있었다.
-- 여기서 순장은 고구려, 백제, 신라에도 있었다.
- 1책 12법은 한 사람에게 12가지 큰 범죄를 적용하고 처벌을 한다는 뜻이다. (고구려도 있었음)
- 형사취수제는 강한 범죄를 저지를때는 처형을 한다는 의미를 뜻한다. (고구려도 있었음)
*옥저는 남편이 아내의 집에서 살거나, 여자가 집에서 여성의 일을 하지 않는 여성의 혈통이 더 중심이 되는 사회 구조였다.
- 민며느리제를 채택하여 여성의 혈통이 중심이 되는 사회적 구조였다.
- 한 가족의 여러 세대가 함께 묻히는 무덤으로, 가족공동무덤은 옥저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났던 장례문화이다.
- 읍군은 읍(지역)을 통치하거나 행정을 담당하는 행정직의 명칭이다. (동예도 있었음)
- 삼로는 읍락의 우두머리들의 칭호였다. (동예도 있었음)
*동예
- 책화는 벌금또는 형벌 제도로 규칙을 어기면 벌금을 부과하는 제도였다.
- 단궁은 동예의 전통적인 짧은 활(단궁)을 뜻한다.
- 과하마는 과일 나무 아래의 말(조랑말)을 뜻한다. 동예에서는 교통수단이자 전투수단이였다.
- 반어피는 물개의 가죽을 뜻하며 의류나 방어구로 사용했다.
- 무천은 신에게 바치는 춤이란 뜻으로 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는 의식이였다.
*삼한은 3개의 한족 국가를 일컫는 용어로, 마한, 진한, 변한을 포함한다.
- 천군은 삼한의 신성한 제사장 역할을 하던 지도자이다. 정치보단 종교적 지도자로 권위가 높았다.
- 소도는 종교적 중심지로 성스러운 장소를 뜻한다.
- 신지는 부족장의 칭호로 각 부족을 통솔하던 지도자이다.
- 읍차는 삼한의 마을 행정적 책임을 지는 관리였다.
- 목지국은 삼한으로 부터 독립적인 국가였다.
- 계절마다 의식 활동을 했다. (계절제)
'다른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공부_3 ( ~ 삼국시대) (0) | 2025.02.20 |
---|---|
한국사 공부_1 ( ~ 고조선) (0) | 2025.02.18 |